임상연구 2

의학 연구의 방법론적 혁신: 코로나19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 연구를 통한 교훈

코로나19 팬데믹은 의학계에 수많은 도전을 안겨주었습니다. 그중에서도 효과적인 치료법을 신속하게 찾아내는 일은 가장 시급한 과제였죠. 하지만 무작위 임상 시험(RCT)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데는 시간이 필요했고, 그 사이 관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연구들이 쏟아져 나왔습니다.이런 상황에서 한 가지 중요한 질문이 제기됩니다: 관찰 연구는 무작위 임상 시험만큼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을까요? 2022년에 JAMA Network Open에 발표된 연구는 이 질문에 대한 흥미로운 답을 제시합니다.두 가지 통계 접근법의 대결Hoffman 등의 연구팀은 코로나19 환자에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가 미치는 효과를 분석했습니다. 이 연구의 특별한 점은 동일한 데이터셋에 두 가지 다른 통계 방법론을 적용했다는..

통계 2025.03.20

[논문리뷰] RWE를 활용하여 임상시험 결과의 외부 타당성을 높이는 방법론; An Overview of Current Methods for Real-world Applications to Generalize or Transport Clinical Trial Findings to Target Populations of Interest

오늘 리뷰할 논문은 23년 Epidemiology에 출간한 논문입니다. (Epidemiology. 34(5):627-636, September 2023.) 이 논문 에서는 RCT 결과의 외부 타당성을 강화하고, 실제 세계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단계별 워크플로를 제안합니다. 이 방법론을 통해 규제적 결정과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높이는 데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제안하고 있습니다.아래 논문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였으나, 관심있는 분들은 논문을 직접 한번 읽어 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.An Overview of Current Methods for Real-orld Applications to Generalize or Transport Clinical Trial Finding..

역학 2025.01.19